목록네트워크 이론/Linux (4)
hello world

리눅스는 모든 파일이나 폴더에 소유 권한이 명시되어있다. 소유자와 권한을 보는 방법은 ls -l 명령어를 통해 확인가능 권한은 리눅스 파일시스템이기에 -wrxwrxwrx의 형태로 되어있다. 권한에는 rwx 3가지가있다. r(읽기):4 / w(쓰기):2 / x(실행):1 첫번째 글자는 파일(-) , 디렉토리(d) 바로가기 아이콘(i)을 구별해주는 기호이고 두번째 부분부터 3개씩 끊어읽는다. 위의 drwxr-xr-x의 경우를 예로 들면 d / rwx / r-x / r-x 첫번째가 d이니까 d 디렉토리이고 rwx(소유자)/ r-x(그룹) / r-x(기타사용자) 로 보고 소유자는 모든 권한을 갖고 그룹과 기타사용자는 읽고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. 숫자로도 표현할 수 있다. r(읽기):4 / w(쓰기):2..

1.톰캣 재시작 명령어 cd tomcat/bin/ 이동 tomcat 실행파일들이 존재한다. ./shutdown.sh : tomcat 엔진 중지 sudo ./shutdown.sh ./startup.sh : tomcat엔진 시작 sudo ./startup.sh 2.nginx 재시작 명령어 sudo service nginx restart
ps -ef | grep 명령어 ps -ef | grep (찾을 단어) ps(Process Status) :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 [ ps 주요 옵션 ] -e 모든 프로세스 출력 -f 풀 포맷으로 보여준다. (UID,PID 등) ps -ef 명령어를 실행하면 많은 결과가 출력된다. 원하는 프로세스만 찾기위해 grep을 사용한다. grep : 특정 문자열 찾는 명령어 [ grep 주요 옵션 ] -i 대소문자 구분하지않고 검색 -n 줄 번호를 함께 출력 -x 패턴과 단어 전체가 일치하는 라인 출력 ps -ef | grep 에서 가운데 파이프 라인(|)은 왜 사용하는걸까? 파이프라인은 보통 명령어1 | 명령어2 형태를 가지고 있다. (명령어1|명령어2 |명령어3)과같은 형태도 가능하다..
curl은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커맨드 명령어 툴이라고한다. 기본적으로 curl 을 통해 외부서버로 접근이 되는지 확인할수있다. 예를 들어 개발서버에서 curl -v https://www.naver.com 입력해보면 외부서버인 naver.com에 접근할수있는지 차단하고 있는지 알수있다. curl으로 서버의 동작을 확인할수도있다.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. curl [options] curl [확인할 서버 IP 혹은 주소] 를 입력하면 방화벽이 열려있는경우 응답이온다 그냥 단순히 서버의 동작을 확인할수있을 뿐만아니라 요청데이터와 같이 보내서 응답값을 얻어오기도한다. curl -H "Content-Type: application/json" -d "{\"id\":\"so_92\"}"-X POST 서버 주소 [ ..